2030년 삼성전자의 목표와 영향, 가장 크게 성장할 산업

삼성전자 덕분에 성장 할 산업?

최근 한경의 기사 “삼성전자, 2030년 ‘무인공장’ 도입한다“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무인 공장’ 도입을 추진하여 생산 인력을 투입하지 않고 기계와 로봇만으로 공장을 돌릴 계획으로, 이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인구 절벽’으로 인한 구인난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라고 합니다.

이번 삼성전자의 결정으로 제조업을 기반으로 하는 국내 대기업들 사이에서는 무인공장 도입 논의가 확산될 거라고 하는데, 삼성전자는 이미 이르면 2030년에 주요 글로벌 지역의 생산기지를 무인화하는 것을 목표로 지난달에 무인공장 도입을 추진하는 태스크포스를 구성했다는 소식입니다.

생산 시스템 지속 가능성 확보

삼성전자가 무인공장 도입 방안을 검토하는 것은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인구절벽’ 때문입니다. 즉, 앞으로 인력난이 점점 더 심각해질 것이라고 보고 있다는 것인데, 실제로 국내의 생산가능인구는 급격히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공장 시스템에서는 결국 ‘생산직’의 인력 부족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을 거라고 전망된다고 합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서는 지난해 11월 1일을 기준으로 생산가능인구는 3,694만 4,000명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1년 전보다 34만 4,000명(0.9%)이 감소한 수치이고, 전체 인구 대비 생산가능인구 비율은 지난해 기준 71.6%였지만, 2037년에는 60% 아래인 59.7%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합니다.

또 인구 문제와는 별도로 세계적으로 스마트팩토리 관련 기술 수준이 높아지고 있어 글로벌 업체와의 생산성 경쟁 측면에서도 공장 자동화는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삼성전자는 앞으로 국내외 인력을 연구개발(R&D) 중심으로 운용할 방침이고, 기존 생산 인력은 서비스업과 R&D 등 다른 분야로 전환 배치하는 방안을 점진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하네요.

최종적으로는 생산성을 높이면서도 인력 의존도를 낮춰 지속 가능한 생산 시스템을 구축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삼성전자가 무인공장 도입 계획을 구체화하게 되면, 다른 기업에 미치는 영향도 클 수 밖에 없습니다. 즉, 삼성전자의 무인공장 도입 계획이 구체화되면, 기존 생산인력의 인위적인 조정없이 자연 감소분만큼 차례로 무인공장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확산될 거라고 예측되기 때문입니다.

낮춰지는 제조업 인력 의존도

삼성전자는 이르면 2030년에 일부 사업장에 무인공장을 시범 도입할 계획이라고 하는데, 우선 자동화 도입의 부담이 크지 않은 곳부터 순차적으로 적용하고, 정년퇴직 등으로 인력 자연적으로 감소하는 만큼 신규 채용없이 기존의 생산직 인력을 전환 배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 삼성전자는 생산직 인력 보다 연구개발 인력의 비중을 높이는 쪽으로 ‘인력 운용 방침’을 정했다고 하는데, 이는 인력난이 심화되면 인건비가 올라 비용 부담이 커질 가능성도 감안한 것으로, 메모리반도체, 시스템반도체 등의 반도체 R&D 인력인공지능 등의 소프트웨어 인력을 중심으로 채용을 늘리게 되면, 해당 인력을 전 사업 분야에서 두루 활용할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전자는 지난 50년간 꾸준히 인력을 늘려왔지만, 지난 2019년 부터 삼성전자의 글로벌 임직원 수가 30만명 아래로 떨어지기 시작했고, 지난해는 26만 6,673명으로 최근 3년 사이에 4만여명이 줄었다고 합니다.

산업용 로봇 시장

애플이나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글로벌 대기업은 상대적으로 적은 인력으로 많은 수익을 올리고 있는데, 이들 기업들 처럼 국내 대기업들도 생산성과 인력 효율화를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에는 로봇 기술이 발전하고, 센서와 머신러닝 등이 융합되면서 스마트공장의 운영 환경이 하나둘 갖춰지고 있는데, 2010년대 들어서는 삼성전자 뿐만 아니라 현대자동차, LG전자와 같은 많은 제조업체들이 제조설비를 자동화하고 시스템으로 관리하는 스마트공장 건설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LS일렉트릭 청주공장은 라인당 투입 인원이 10년 전 15명에서 현재 1.5명 수준으로 줄었는데, 결과적으로 인력의 감축 뿐만 아니라 낮은 불량률, 높은 업무 효율이 나타났기 때문에, 현재의 수준에서는 이미 무인공장 전환을 위한 기술적 리스크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장조사업체 마켓츠앤드마켓츠는 세계 산업용 로봇 시장이 지난해 141억 1,600만 달러에서 2026년에는 288억 6,500만 달러로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데, 산업용 로봇은 단순 반복 로봇에서 자율화 요소가 추가된 고속 로봇과 조립 로봇을 거쳐, 지능화된 협동 로봇과 무인화 로봇의 형태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AI와 결합한 지능형 로봇에 대한 산업계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기사를 통해서 접한 소식이지만 삼성전자의 미래 전략에 대한 윤곽이 그려지고 있고, 현실화 될 가능성이 높은 전망이란 생각이 드는 만큼, 이와 관련된 스마트 팩토리, 산업용 로봇 산업에 속한 기업들에 관심을 가져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관련 산업과 종목에 대한 아이디어는 “개화하는 로봇 시대, 꼭 봐야하는 할 국내 기업들”에서 힌트를 얻어 보시기 바랍니다.

답글 남기기

Recent Posts

행복만 있는 세상, 정말 우리가 꿈꾸는 이상향일까요?

행복만 있는 세상, 정말 우리가 꿈꾸는 이상향일까요?

SCSS Style Guide

SCSS Style Guide

CSS Style Guide

CSS Style Guide

왜 코딩 컨벤션이 중요할까요?

왜 코딩 컨벤션이 중요할까요?

HTML Style Guide

HTML Style Gu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