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

농기계 전문업체

대동

  • 소속 코스피
  • 코드 000490
  • 업종 기계
  • 테마 트랙터, 콤바인, 정밀농업, 자율주행, 스마트모빌리티

투자 요약 정보

  • 동사는 1분기에 국내 트랙터 판매 부진 및 북미 수출 수익성 우려가 있었는데, 2분기에는 영업이익률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며, 2분기 매출액은 4,039억원(+19.5% yy), 영업이익 408억원(+71.0% y-y)으로 영업이익률은 10%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됨
  • 동사는 자회사인 대동모빌리티(총 지분율 66.6%)를 활용해 스마트모빌리티 시장에 진입할 예정으로, 현재 소형 트랙터, 체인, 작업기 등에서 1,000억원 안팎의 매출이 발생 가능할 것으로 전망됨
  • 내년부터는 2,000억원 이상의 매출 발생이 예상되는데, 이는 올해 8월 준공되는 신공장에서 생산하는 E-bike와 0.5톤 전기트럭 매출에 기인할 것으로 예상되며, 카카오모빌리티향 전기이륜차 납품이 시작되는 2023년부터는 스마트모빌리티 부문이 동사의 연결 매출액에 기여 할 것으로 전망됨
  • 출처: NH투자증권

이전 요약 정보 History

  • 2021년 동사의 수출액은 북미 중소형 트랙터의 매출 호조로 7,000억원을 돌파, 수출 비중 또한 63%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에 2021년 연간 매출액은 1.15 조원(+28.8% y-y), 영업이익은 410억원(+23.9% y-y)으로 대폭 성장이 예상됨
  • 2022년 북미 중소형 트랙터 판매도 호조가 전망되는데, 미국 내 하비팜(Hobby farm)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동사가 집중하는 중소형 트랙터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전방 시장 자체도 우호적인 상황으로, John Deere는 올해 글로벌 시장 중 북미 시장에서 최대 성장을 예상(+15% y-y)하고 있으며, 21년 11월 기준 북미 중소형 트랙터 시장 규모는 24만대 수준으로, 동사의 시장 점유율은 7%로 추정
  • 출처: NH투자증권
  • 동사의 트랙터는 미국 시장 점유율 20%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으며, 창립 이후 74년간 국내 농기계업계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음
  • 최근 자율주행 이앙기를 선보이며 ‘스마트 모빌리티’ 기업으로의 변신을 선언함
  • 20년 상반기 대동은 매출 4921억원, 영업이익 428억원을 올려 창립 이후 최대 실적을 기록함
  • 동사는 경운기를 시작으로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등 완성형 농기계 전문 기업이라는 명성에 걸맞은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함, 이에 더해 지게차, 스키드로더(운반기계), 제로턴모어(승용제초기), 다목적 운반차량(UTV) 등 산업·시설관리 장비까지 라인업을 확대 중이며, 지난해에는 SK텔레콤과 함께 국내 최초로 직진 자율주행 이앙기를 개발
  • 동사의 카이오티는 미국의 50마력 이하 컴팩트 트랙터 부문에서 시장점유율 6.2%를 차지하는 글로벌 메이커로 성장, 20~30마력급 트랙터 점유율은 16%에 달하고 내년까지 20% 이상으로 끌어올릴 계획
  • 현재 동사는 대동USA를 비롯해 중국, 캐나다, 유럽, 동남아 등에 현지법인을 두고 세계와 경쟁하고 있음, 작년 상반기 거둔 매출 4920억원 중 절반 이상인 2510억원을 해외에서 벌어들임
  • 동사는 1993년 랠리카이오티 인수를 계기로 갖추게 된 탄탄한 영업망을 통해 미국과 캐나나 등 북미지역향 매출이 전체 해외 매출의 80% 이상을 차지함
  • 현재 대동USA가 갖춘 북미 딜러망은 430개에 달하며, 국내 경쟁사들의 OEM 비중이 여전히 60~90%대인데 비해 동사는 90% 이상을 직영대리점으로 운용 중임
  • 동사는 스마트공장 등 전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추진단 신설로 코로나19로 인한 환경변화에 적절히 대응이 가능했음, 곧 대구공장에도 MES(제조실행 시스템)가 본격 가동 예정으로 실시간으로 제품을 모니터링하고 물류 관리, 불량 관리까지 한 번에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이며, 향후 농기계라는 플랫폼을 기반으로 각종 ICT 기술을 접목해 ‘정밀 농업(Precision Agriculture)’을 주도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기업으로 변신할 계획
  • 정밀농업이란 자율주행,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고도의 ICT 기술을 활용한 농업을 말함. 비료와 물, 노동력 등 투입 자원을 최소화하면서도 기술을 활용해 생산량을 극대화하는 첨단농업으로, 정밀농업이 가능하기 위해선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정확히 분석해내야함
  • 지난해 대동이 선보인 자율주행 이앙기가 대표적으로 위성항법장치(GPS)를 이용해 정해진 구간에서 직진 주행이 가능하며, 주행은 이앙기가 알아서 하고, 모판 관리만 한 사람이 맡는 시스템
  • 이외에도 현재 동사는 자동·전자 제어가 가능한 디젤엔진, 트랜스미션, 유압시스템 개발을 완료한 상태, 여기에 내연 기관이 아닌 전동화 기술 확보와 개발에도 공을 들이고 있으며, 전동 UTV, 무인 및 승용 전동 모어, 다목적 모빌리티 플랫폼, 청소로봇, 배달로봇, 골프 로봇캐디 개발도 적극 진행 중
  • 2024년까지 정밀농업을 위한 데이터분석 기술과 스마트 커넥티드 골프 카트 개발, 전동화 통합제어 시스템,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알고리즘 개발, 정밀농업 솔루션 개발 등을 차례로 완료할 계획
  • 국내의 경우 필수기능과 사양만 넣어 가성비를 채운 ‘경제형 농기계’ 판매가 전년동기 대비 2배 가량 증가했으며, 1인 모내기 작업이 가능한 자율주행 이앙기 판매도 240% 증가함
  • 연결 자회사인 대동금속의 자동차 엔진 부품 사업도 성장 중, 대동금속은 지난해 약 230억원을 투자해 제2주물공장을 완공해 생산 규모를 키웠으며, 이 회사의 20년 상반기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37% 증가한 549억원을 기록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