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카드

신용카드 전문업체

삼성카드

  • 코드 029780
  • 소속 KOSPI
  • 업종 기타금융업, 카드
  • 테마 신용카드, 카드대출, 카드론, 소비회복

투자 요약정보

  • 동사의 1분기 순이익은 1,398억원으로 시장의 컨센서스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는 예상보다 신용판매(신판) 이용금액이 크게 증가한 덕분으로 판단됨
  • 가맹점수수료 인하의 부정적 영향을 신판 증가가 상쇄하고, 추가로 소비생활과 밀접하고 성장률 추세가 긴 도소매, 운수, 교육 업종의 승인금액 증가율이 9~17%에 달하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 이를 기반으로 2분기 삼성카드 신판 이용금액은 전년동기대비 11%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지만, 금리상승으로 조달비용률은 악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잔액 기준 조달비용률 상승은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됨
  • 작년 4분기 조달비용률은 11개 분 기만에 전분기대비 상승하였으며, 평균 여전채 만기를 고려 시, 잔액 조달비용률은 매분기 4~5bp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 동사는 현재 신판이 빠르게 늘어나는 국면에 있어 조달비용 부담 확대에도 불구하고 실적은 양호할 것으로 전망됨
  • 출처: 한국투자증권

이전 요약 정보 History

  • 동사는 코로나이후 소비심리 회복으로 카드금액 증가가 예상되며, 6~7%대 배당이 가능한 대형금융회사로 배당성향 48% 예상시 안정적인 고배당을 기대할 수 있음
  • 현재 카드사 점유율은 신한이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고, 점유율 17%의 2위권 카드사인 삼성, KB, 현대카드 중 동사의 향후 이익증가와 주가레벨업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어, 2위권 카드사중 공격적인 점유율 증가가 기대됨
  • 다만 카드사 중 동사가 유일한 상장사로 밸류산정의 어려움이 있으며, 정부의 카드대출 규제로 일부 이익 훼손의 가능성이 있는 것은 주의가 필요함
  • 동사는 전 부문이 안정적인 호실적을 기록하고, 개인신판 M/S는 18%대를 탈환하여 1분기 순익은 1,384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3.1% 증가함
  • 이는 코로나 기저효과와 개인신판 취급고가 YoY 11.8%나 증가하면서(시장성장률은 7.0%) 수수료이익이 큰폭 증가했고, 현금서비스, 카드론 등 대출성자산 확대로 이자이익도 개선되었으며, 서비스비용 증가와 성과급 등 인건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차세대시스템 감가상각비 감소로 총 판관비 증가세는 미미했으며, 750억원에 불과한 조달비용이 1분기에도 추가적으로 감소했기 때문임
  • 신규연체율 하락과 연체채권회수율 개선 등에 따라 대손비용도 920억원 내외의 낮은 수준이 지속되었으며, 1분기 개인신판 M/S는 18.0%로 2018년 2분기 이후 3년여만에 18%대를 탈환함, 이는 이용고객수 저변 확대 때문으로 최근 요식업 취급고 급증 등 억눌린 소비가 회복될 조짐을 보이고 있어 개인신판 취급고는 당분간 상당폭의 증가세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
  • 수익성 높은 대출자산 성장 여력이 커지고 있는 점도 긍정적이며, 지난해 3분기부터 현금서비스 취급고가 다시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리스크관리 차원에서 과도하게 축소했던 잔고를 정상화하는 과정으로 판단
  • 코로나 이후 저신용자의 금융소외현상을 막기 위해 매년 5~6%로 대출자산 성장률을 제한하던 감독당국의 정책이 최근 완화되고 있어 수익성 높은 대출자산의 성장 여력이 커지고 있는 점도 긍정적이며, 규제 요인에도 불구하고 올해 추정 순익은 4,300억원으로 예상됨
  • 하반기 업권내 주요 이슈는 법정최고금리 인하와 가맹점수수료율 원가 재산정 등으로 올해 법정최고금리 인하에 따른 손익 영향은 140억원 정도로 추정됨(연간 300억원 내외)
  • 연말 가맹점 수수료율 원가 재산정 이슈도 결국 원가 하락으로 이어지면서 수수료율 인하 압력이 커질 가능성이 높지만, 카드사들의 이익체력이 크게 향상되었고, 몇 차례의 수수료율 인하 조치를 경험하면서 축적된 대응 역량 등을 감안시 수익성이 크게 훼손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됨
  • 출처: 하나금융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