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의 핵심은 실리콘 음극재 매출 고성장으로 실리콘음극재는 이론상 흑연의 10배 에너지밀도를 가지고 있지만, 충ㆍ방전시 부피 팽창과 낮은 전기전도도 등의 문제로 적극 채택되지는 못함
동사는 열 플라즈마를 이용한 기상합성공정을 적용해 고효율 실리콘복합산화물 양산에 최초로 성공하였으며, 현재 고객사의 초고가 전기차 배터리 음극재에 첨가되는 형태로 판매되고 있는데, 실리콘음극재를 개발한 업체들은 많지만, 동사와 같이 대규모로 양산하는 업체는 아직은 없는 상황임
현재 음극재에서 5% 수준의 첨가비중은 2022년 하반기부터 초고가 전기차 파생모델을 시작으로 8%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미국의 얼티엄셀즈(LGES+GM)가 가동되는 2022년 말부터 실리콘음극재 판매량도 또 다시 레벨업 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에 따라 실리콘음극재 매출은 2020년 130억원에서 2021년 250억원, 2022년 500억원의 고성장이 예상됨
동사가 계획하고 있는 2만톤의 실리콘음극재는 약 9,000억원(연 단가인하 5%, 가동률 80% 가정시)의 매출이 발생할 수 있는 규모로 장기적으로 전기차판매량 증가, 대당 배터리용량 증가, 용량당 사용량 증가의 삼중 수혜가 예상됨
배터리 소재 중에서도 자동차나 배터리 업계의 최대 관심사는 충전 속도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음극재이며, 그중에서도 실리콘 음극재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음
업계 전문가들은 차세대 음극 소재로 주목받는 실리콘 음극재 시장 수요 규모가 2025년까지 연평균 70% 이상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하는데, ‘실리콘 음극재’는 기존 흑연계 음극재에 비해 g당 용량이 4배 이상 높은 특징으로, 배터리의 급속 충전 설계가 쉽고 에너지 밀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어 전기차 주행거리도 크게 늘릴 수 있음
동사는 현재 2차전지용 실리콘 음극재, 칩부품용 전극페이스트, 자동차 및 디스플레이용 LED 형광체 소재, 자동차용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전도성 페이스트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매출은 지난해 기준 전도성페이스트 964억원(62%), LED용 형광제 157억원(10%), 음극활물질 130억원(8.4%), 절연체 및 기타 294억원(19%) 등으로 구성됨
동사는 차세대 배터리인 전고체(리튬이온이 이동하는 전해질을 고체로 만든 배터리)와 수소 전환 촉매 등 차세대 에너지 소재 연구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2030년 5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글로벌 실리콘 음극재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연간 80억원 규모의 자금을 R&D에 투자하고 있음
실리콘 첨가제는 EV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배터리에도 도입이 예상되는데, 이는 mmWave 도입 확대에 따른 배터리 소비 심화에 대응하고, 사용시간 증대에 따른 소비자 만족도 향상이 목적임
애플 역시 아이폰 내 실리콘 첨가제 도입을 검토하고 있어 2025년 전후로 스마트폰 시장도 개화될 전망으로, 애플이 협력을 요청하게 될 업체는 동사를 포함 EV향 레퍼런스가 있는 소수 업체로 압축될 것으로 전망됨
이전 요약 정보 History
동사는 글로벌 자동차 업체와 전고체 배터리 (all solid state battery)의 핵심 소재인 고체 전해질 제조의 특허 등록에 최종 성공한 유일한 배터리 소재 업체로 선제적 고객 확보에 따른 전고체 배터리 시장 확대 수혜가 예상됨
2차전지 소재의 다양한 제품구성 확보에 따른 배터리 소재 매출 성장을 반영 시, 2023~2025년의 실적 추정치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판단되며, 동사는 2021년 바인더(binder)를 시작으로 2023년 실리콘 음극재(silicon anode), 2025년 전고체 배터리용 핵심 소재인 고체 전해질(solid electrolyte)까지 제품구성 확대가 예상됨
한솔케미칼은 안정적인 사업을 영위하면서 동시에 신성장 동력을 확보해 나가는 기업으로, 과산화수소의 국내 과점 사업자이며, QD 소재를 삼성에 납품하는 기업임
반도체용 소재 매출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2차전지 실리콘 음극재 사업 시작했고, NB라텍스도 호조세에 있어, 동사의 사업 품목들이 모두 매출에 유의미한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최근에는 실적의 기복도 보이지 않는 듬직함을 보여줌
주력 품목 중에 반도체용 과산화수소 매출은 P2 및 M16향으로 증가했으며, 반도체용 전구체 중에 비메모리 공정용 Gap-Fill 전구체 매출이 유의미하게 늘어났으며, 아시아 고객사로 공급 중이라 비메모리 파운드리 미세화의 수혜와 함께, 3월 증설 마무리도 기여한 것으로 판단됨
주력 품목 중 QD 소재는 2분기가 상대적으로 비수기 였으로, 이로 인해 반도체용 과산화수소와 전구체가 2분기 실적 증가(Q/Q)를 주로 견인함
동사의 실적 지표 중에서는 분기 매출보다 분기 영업 이익이 상대적으로 중요한데, 1, 2, 3분기에 계단식으로 증가 하다가 4분기에는 임직원 인센티브 비용 지급 등의 영향으로 감소하는 흐름을 보여왔기 때문
2021년에는 3분기와 4분기 영업이익이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는 주력 품목 중에 NB Latex, QD 소재 매출이 4분기에 크게 증가하기 때문이며, NB Latex의 경우 증설 효과의 본격적 반영이 기대되고, QD 소재의 경우 계절적 성수기 효과가 기대됨
동사가 최근에 진출한 사업은 반도체용 특수가스(자회사 솔머티리얼즈) 및 2차전지용 바인더로 양대 사업 모두 하반기의 실적 기여가 상반기보다 커질 것으로 전망됨
동사는 최근 2차전지용 소재 사업 중에서 실리콘계 음극재 양산 설비 구축에 850억 원을 투자한다고 공시했으며, 음극재는 흑연계에서 실리콘산화물계로 바뀌고 있어 차세대 소재로 실리콘과 탄소를 배합한 물질이 주목받고 있음
연간 수천 톤의 규모를 갖춰 규모의 경제를 달성한다면, 연간 수천 억 원의 매출이 가시적인 사업으로 아직 개화되지 않은 시장이지만 전방 수요가 이제 막 생겨나는 시장에 진출한다는 점과 점유율 경쟁을 우려하기에는 아직 초기 시장이라는 점에서 2차전지용 실리콘계 음극재 사업은 주가의 PER 밸류에이션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됨
동사는 EPS와 ROE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20-20 클럽 최고 종목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QD OLED 소재 등등 최고 아이템 라인업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제는 NB라텍스 매출의 급성장이 기대
과산화수소 시장을 꽉 잡고 있는 상태에서 2차전지, 전구체, NB라텍스 등 신사업이 탄력받고 있는 중
NB라텍스 매출은 19년 108억에서 22년 2천억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향후 3년간(2021~2023년) 연평균 이익 성장률은 +27%의 고 성장이 예상됨
동사는 올해부터 신사업(NBL: NB라텍스, 특수 화학소재) 효과가 실적 개선 가속화 요인(올해 신규 생산능력 +8배 확대: 2020년 1만톤 → 2021년 말 8만톤)으로 작용하고, 사실상 독과점 공급구조를 확보한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기차 소재 사업이 주요 고객사(삼성전자, SK하이닉스, TSMC, 삼성SDI, 삼성디스플레이)의 생산능력 확대로 향후 3년간 물량 증가의 직접적 수혜가 기대됨
의료 및 헬스케어 특수 소재인 NBL(NB라텍스)은 위생장갑 수요가 급증하며 현재 극심한 공급부족을 나타내고 있으며, 1분기 현재 NB라텍스 가격도 전년대비 +2배 상승한 2,000달러로 가격상승이 지속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