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 시장 활성화에 핵심 정책인 고정가격입찰제가 하반기에 도입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관련 제도에 대한 연구과제 결과가 6월말에 제출될 것으로 보도되었고, 사업자들과 풍력협회 등이 관계부처와 활발한 논의를 통해 최종 세부안을 조율 중인 것으로 파악됨
현재까지 국내에는 태양광 전용 고정가격입찰제도만 있는데, 올 상반기에도 정부는 약 2GW 이상의 태양광을 이 제도를 통해 설치할 계획이며, 풍력은 계획부터 전력생산까지 기간이 육상은 4~5 년, 해상은 5~7 년으로 매우 길기 때문에, 풍력단지 건설에 따른 수익성을 좌우하는 SMP, REC, 원자재 가격 등의 변수들이 이 기간동안 변하면서 사업이 지연되거나 포기되는 경우가 많음
즉 20년동안 고정가격으로 사업의 수익성이 확정되면 풍력 사업의 활성화가 될 것은 분명하며, 해외에서도 대부분의 국가들이 풍력시장의 초기 정착을 위해 이 제도를 이용하고 있음
입찰 규모, 입찰 가격의 범위 등 아직 세부적인 상황이 발표되지 않았지만, 고정가격입찰제도는 도입과 정착만으로도 국내 풍력 시장의 활성화에 게임 체인저가 될 것으로 판단됨
풍력 고정가격입찰제도도 태양광의 사례와 같이 국산부품을 사용하는 사업자를 우대할 가능성이 높아 동사에게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는데, 동사는 국내의 육상/해상풍력 타워의 유일한 독립 제조업체이기 때문에, 입찰에 성공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동사에게 타워의 구매 의뢰가 들어올 가능성이 높음
동사는 풍력단지 건설 사업도 하고 있는데, 연간 1~2개의 단지 건설을 하고 있으며, 국내 시장의 활성화로 이 숫자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동사는 2분기부터 미국향 타워 수출이 본격적으로 증가하고, 국내 시장도 개화되는 등 펀더멘탈은 오히려 구조적으로 좋아지고 있으며, 그동안 대부분의 풍력관련 매출이 미국향 타워 수출로 발생했지만, 국내 풍력시장이 열리면 추가적인 성장동력이 확보될 것으로 기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