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엔에이치테크

OLED 소재 전문업체

피엔에이치테크

  • 코드 239890
  • 소속 KOSDAQ
  • 업종 화학
  • 테마 OLED소재, CPL, 블루호스트, LG디스플레이

투자 요약정보

  • 동사는 LG디스플레이향 OLED 소재 업체로 21년 매출액은 241억원(+181% YoY)으로 크게 늘었는데, 이는 모바일 OLED용 고굴절 CPL(Capping layer)을 2Q21부터 공급하기 시작한 영향 때문으로 판단됨
  • 올해는 LG디스플레이 E6-3 라인 가동과 스마트폰 고객사의 신모델 효과로 고굴절 CPL 출하량이 전년대비 5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경쟁사인 BOE의 하반기 북미 고객사향 패널 출하가 어려움을 겪고 있고 LG디스플레이가 이 물량을 대체하게 되면 동사의 소재 출하도 예상보다 크게 늘 것으로 기대됨
  • 신규 소재 공급 효과도 예상되는 부분으로, 고가의 OLED TV에 채택되는 패널에 동사의 blue host가 적용되기 시작하였는데, 비록 1Q22 기준 2,000달러 이상(OMDIA 기준) 고가 OLED TV 판매량 비중은 26%로 높지 않지만 내년 TV 라인업 다변화, 고성능 패널 적용 확대로 blue host 매출 증가세는 계속될 것으로 기대됨
  • 출처: 한국투자증권

이전 요약 정보 History

  • 동사는 LG디스플레이향 공급확대(WOLED 장수명 B/H, 아이패드 POLED)를 기반으로 올해부터 3년간 CAGR +65%의 성장이 전망
  • 동사의 장수명 B/H는 지난해까지 스마트워치용 패널에만 적용되었지만, 올해부터 TV용 WOLED 패널로 적용처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24년 OLED 아이패드 출시에 따른 POLED 공급 증가 수혜가 기대되는데, 12.9인치, 10.9인치 프로 모델 출시가 유력하며, 900만대 이상의 판매가 전망됨
  • 통상 신규 프로 모델의 판매 수량이 750~950만대 임을 고려하면, 6인치 패널 기준으로 3,600만대 분이며, 투스택 탠덤 구조까지 고려하면 7,200만대 분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됨
  • 출처: 유안타증권
  • 동사는 주요 고객사인 LG디스플레이의 모바일 OLED 향으로 고굴절 CPL을 단독으로 공급하고 있는데, 고굴절 CPL은 2021년 하반기부터 본격 양산된 소재로 올해 매출에 온기 반영됨에 따라 큰 폭의 실정 성장이 예상됨
  • OLED TV 향 소재의 경우, 주요 고객사인 LG디스플레이의 올해 OLED TV용 패널 출하량 목표치가 1,000만대인 상황으로 작년의 800만대 출하량을 크게 상회하는 만큼 장수명 블루호스트 공급이 본격화될 것으로 판단됨
  • 출처: 하나금융투자
  • 동사는 OLED 소재에 대한 자체 특허 및 탄탄한 고객사를 보유하여 외형 성장과 신소재 개발의 선순환 고리를 이을 것으로 전망됨
  • 동사는 고굴절 CPL 자사 특허를 갖춘 국내 유일 기업으로, 개발 난이도가 높은 고부가가치 OLED 소재(블루 프라임, P-도판트 등) 연구를 지속하고 있으며, 장수명 블루호스트 합성 및 승화정제 공정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 DuPont 한국법인(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과의 공급계약을 통해 7년간 OLED소재(장수명 블루 호스트, 레드 호스트, 레드 프라임 등)을 납품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주요 고객사인 LG디스플레이의 3.3조 규모의 중소형 OLED 신규 증설 투자 및 아이패드용 OLED 공급이 계획되는 만큼 2022년에도 실적 성장이 예상
  • 출처: 하나금융투자
  • 동사는 OLED 소재 업체로, 레드 프라임, 고굴절 CPL, 장수명 블루호스트 등을 공급하고 있으며, 주요 고객사는 Dupont(51%)과 LG디스플레이(20%)로 2020년 기준 두 고객사향 매출액 비중이 71%를 차지
  • 다만, Dupont으로 공급하고 있는 소재 또한 최종 고객사가 LG디스플레이로 파악되어, 사실상 매출액의 대부분이 LG디스플레이로부터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됨
  • 어플리케이션 기준으로는 모바일향이 2020년 매출액의 90% 이상을 차지 했지만, 올해부터는 TV향 매출액이 증가하며 본격적인 어플리케이션 다변화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