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는 국내 포인트메이크업 ODM 1위 업체로, 매출액의 대부분이 포인트 메이크업 제품(립 69%, 아이 27%)에서 발생됨
2020년 브랜드별 비중은 프레스티지 10%, 인디 50%, 로드샵 40%이며, 제품 기획 및 품질 관리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어, 글로벌 4대 브랜드(로레알, 에스티로더, LVMH, 코티)의 생산 Audit 승인 및 신규 프레스티지 브랜드 공급, 베이스 메이크업의 SKU 확대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7월부터는 유럽 프레스티지 브랜드향 신제품의 초도 물량 공급이 진행되었으며, 하반기에는 브랜드 중 이익 기여도가 가장 좋은 프레스티지향 매출 확대로 2021년 연간 프레스티지 매출 비중은 15%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됨
동사는 10월 안에 파운데이션, 쿠션 등 신규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의 식약처 허가가 완료될 예정으로, 베이스 제품의 ASP는 포인트 메이크업 대비 2~3배 이상 높아 제품 Mix 개선에 따른 추가적인 수익성 개선이 기대됨
동사는 중국 로컬 브랜드의 확보로 2021년 상해법인의 흑자전환 및 실적 성장이 기대되는데, 상해법인은 2017년 출범 이후 고정비 부담으로 적자가 지속되었지만, 최근 중국 자국 브랜드 선호 증가 및 라이브커머스 뷰티 제품 구매 확대가 지속되면서, 2021년 중국 로컬 브랜드 확보 전략으로 2021년 5월 흑자전환에 성공함
하반기에는 외형 성장 및 턴어라운드 본격화로 2021년 연간 매출액은 YoY +126% 증가한 92억원, 영업이익률은 10% 이상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되며, 2022년에는 본격적인 턴어라운드가 기대됨
2021년 캐파 확장을 위한 공격적인 투자로 이익률 둔화는 불가피하지만, 2022년에는 외형 성장 및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됨
동사는 높은 마진율을 보유한 색조 화장품 ODM 업체이며, 색조 화장품 중 Lip/Eye 등 포인트 메이크업 전문업체임, 2020년 포인트 메이크업 매출 비중은 95.5%(Lip 69%, Eye 27%)를 기록했으며 2020년 Lip과 Eye 제품은 각각 전년대비 9.8%, 14.0% 성장함
동사는 Lip 제품이 주력이며, 작년 같은 경우 코로나 19 이후 마스크 착용 영향으로 Eye liner/Brow 등 제품의 성장률이 높았으며, 코로나19 에 따른 화장품 시장 축소에도 2020년 전사 매출 성장률은 10% 수준을 달성, 이는 국내 상장 화장품 ODM 사와 비교할 때 상당히 높은 편이며, 특히 글로벌 고객 사의 물량 확대로 유럽 및 북미 지역 수출액은 2020년에 전년대비 16.7% 증가하였고, 2020년 영업이익률은 16%를 기록했으며, 색조 화장품 브랜드의 기획 단계에 참여하면서 높은 이익률을 달성하고 있음
Style Nanda 벨벳 립 틴트(2017년), Tarte 고광택 립글로스 스틱(2019년) 등은 동사의 기획력을 바탕으로 탄생한 제품들로, 벨벳 립 틴트 제품은 3년 연속 600만개 이상이 판매되었는데, 이런 성공 사례를 벤치마킹하기 위한 인디 브랜드의 러브콜을 받고 있는 상황이며, 2020년도에 인디 브랜드의 매출 비중이 50%까지 올라오면서 영업이익률도 한 단계 높아진 것으로 판단됨
동사는 국내 화장품 업체 중 유일한 아모레퍼시픽 유해물질 시험 위임 협력사로, 2020년에는 아모레퍼시픽 ODM 협력사 중 종합 평가 1위를 기록한 만큼, 유해물질 시험 등 품질과 관련된 신뢰를 받는 협력사로 판단됨
동사는 이런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L’Oréal, Estée Lauder, LVMH, COTY 등 글로벌 업체들 품질/생산 Audit을 모두 통과했으며, 뷰티 업계에서도 색다른 아이디어를 제시할 수 있고, 젊은 신생 브랜드와 협력이 활발한 동사와 같은 업체를 파트너사로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동사는 제품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2020년 기준 제품 생산 CAPA를 1.05억개에서 용인과 상해 공장 CAPA 확대를 통해 2022년에 2.8억개로 확대할 예정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