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는 글로벌 2위의 전기차용 배터리 전문 기업으로 2020년 12월 LG화학에서 물적분할하여 설립되었으며, 핸드폰 및 노트북용 원통형 전지를 시작으로 전기차용 2차전지 생산을 확대하고 있는데, 한국을 시작으로 2005년 중국 남경 공장, 2012년 미국 미시건 공장, 2017년 폴란드 공장을 준공하여 한국, 미국, 중국, 유럽의 4개 지역에 생산체제를 구축함
동사의 전기차용 전지 비중은 83%로 추정되며, 나머지는 원통형 전지 등이 차지하고 있는데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사용량 기준 점유율은 20.5%로 중국 CATL의 31.8%에 이어 2위를 기록함
동사는 미국 전기차 산업의 가장 중요한 파트너로 2019년부터 3조원 내외의 중대형전지 투자를 지속했왔으며, 올해부터는 미국에 투자가 집중되고 있는데, 동사의 미국 공장은 현재 미시간 5GWh 규모로 가동되고 있으며, 2022년에는 GM과의 합작사인 얼티엄셀즈 오하이오공장, 2023년은 테네시 공장이 각각 가동 예정이고, 추가적으로 미시간 공장 증설, 스텔란티스와의 JV 공장, 자체 셀 공장 등 2025년에는 미국에만 총 160 ~ 215GWh 규모의 전기차용 배터리 공장이 구비될 것으로 전망됨
LG 에너지솔루션 실적은 2021년 매출액 17.8 조원, 영업이익 1조원으로 예상되며, 2025년까지 연평균 24%의 매출 성장이 전망되는데, 스텔란티스 JV 및 자체 북미 공장 등 주요 공장들이 2025년부터 본격 가동될 예정이기 때문에 2025년 이후에도 고속 성장이 유지될 것으로 기대됨
동사는 중국 전기차 시장에 진입할 수 없고,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 CATL과 비교시 할인요인이 있지만, 미국에서의 강점과 LG화학을 통한 배터리소재(양극재 등) 내재화는 프리미엄을 부여할 수 있는 요인으로 판단됨
현재 배터리 업체들은 전기차라는 좋은 스토리를 가지고 있어 높은 프리미엄에 거래되고 있지만, M&A 프리미엄이 크게 붙기 어려운 저마진 제조업이며, 장기 현금흐름을 안정적으로 제시하기에는 경쟁심화와 기술변수가 많은 산업으로 현재 배터리 업체들의 기업가치 평가방법은 다소 불확실성있어 장기투자에 대한 고민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