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한 자녀를 둔 부모들의 3가지 공통점과 실행 전략

내 아이 성공적으로 키우기

자녀를 성공적으로 키우는 방법은 ‘딱 이거다!’라고 할 수 있을 만큼 공식화되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대신 수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다양한 조언을 해주게 되는데, 이런 경우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 조언과학적인 근거가 없는 조언들이 뒤섞여 어느 것이 맞는 조언인지 헷갈리게 됩니다.

어떤 조언을 들어야 할까요? 우선은 그 부모를 보아야 합니다. 먼저 부모 스스로의 인품이 좋아야 합니다. 훌륭한 인품을 가진 부모들은 대부분 자녀를 자신감이 넘치고, 사회에 잘 적응하도록 키워냈는데, 이런 부모들에게는 몇 가지 공통점이 있었다고 하네요.

세계적인 교육학자인 미셸 보르바 박사는 성공한 자녀를 둔 부모 200명을 연구한 결과, 자녀를 성공적으로 키워낸 부모들의 3가지 공통점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unsplash

성공적인 자녀를 둔 부모들의 3가지 공통점

공감 가르치기

성공적인 아이들을 다른 아이들과 구분짖는 특징 중 하나는 부모의 정기적인 공감 모델링으로, 성공적인 자녀의 부모는 자녀와 소통할 때 감정을 표현하는 감정 어휘를 습득하도록 도와줍니다.

예를 들면, “행복하구나” 또는 “괴로워 보이네” 처럼 쉽게 실천할 수 있습니다.

또 자녀에게 “기분 어땠니?”, “무서운 것 같구나. 내 말이 맞니?”와 같이 자신의 감정에 대해 물어보는 것도 좋습니다. 이렇게 감정을 물어보면, 자녀는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부끄러움 없이 자신을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이 외에도 자녀가 자신의 감정을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부모 자신의 감정을 자녀에게 공유하는 것도 중요하며, 자녀가 주변 사람들의 감정을 알아차리도록 도와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주변 사람들의 감정을 알아차리도록 도와주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자녀와 가볍게 산책하면서 누군가를 가리키며 “저 사람은 기분이 어떨 것 같아?”라고 가볍게 물어보는 정도로 충분하니까요.

자녀의 관심사에 관심갖기

스포츠, 비디오 게임, 음악, 토론 등으로 성공한 자녀들은 모두 교실 밖에서의 열정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들의 부모는 취미가 아이들의 정신적 활동을 유지시켜 준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아이들의 취미생활을 지원하는데 다른 부모들보다 더욱 열정적이었다고 합니다.

또한 취미 생활이 아니더라도 자녀가 매일 하는 일이나 보는 것에 관심을 보이는 것은 엄청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하는데, 이는 독서와 기억력 같은 인지 능력과 근성, 회복 탄력성 같은 비인지 능력을 키우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낙관적인 태도

자녀를 회복탄력성이 있고 사회적으로 지적으로 키우고 싶다면, 긍정적인 시각을 갖도록 가르쳐야 합니다. 아이들은 부정적인 경험이나 감정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인데, 자녀의 고통에 공감하면서 가장 최근의 승리와 즐거움에 주의를 다시 집중시켜주면 자녀가 더 크고 밝게 자라날 수 있다고 하네요.

결국 낙관주의가 성공의 핵심 요소라는 말인데, 낙관적인 아이들은 도전과 장애물을 일시적인 것으로 여기고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성공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부모는 자신의 행동에 주의를 더욱 기울여야 합니다. 자녀를 대할 때 상황을 너무 부정적이거나, 너무 긍정적으로 치우쳐서 생각하거나 행동하지 말고, 중심을 잘 잡아야 자녀가 성공할 확률이 더 높아지기 때문이죠.

3T 전략 사용하기

3T 전략은 Tune in, Talk more, Take turns의 앞 글자를 딴 것으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의 기울이기

주의 기울이기는 자녀가 무엇에 집중하고 있는지 의식적으로 노력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아이와 함께 식탁에 앉아 간식을 먹고 있는데 아이가 창밖을 바라보고 있다면, 아이의 시선을 따라가 아이가 집중하고 있는 것에 집중한 다음 아이가 그것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유도하는 질문을 해보세요.

더 많이 이야기하기

더 많이 이야기하기는 아이와 그들의 관심사에 대해 자주 대화하는 것입니다. 아이와 더 많은 대화를 하면, 아이의 뇌는 더 많은 단어를 습득하게 되고 아이들의 어휘력이 향상됩니다.

번갈아 가며 대화하기

번갈아 가며 대화하기는 아이와 부모가 동등하게 대화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부모는 아이와 동등하게 대화에 참여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자녀가 자기 주변 세계나 자신의 기분을 묘사하도록 유도하는 질문을 통해 서로 주고받는 대화 패턴을 이어 나가도록 하면 됩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