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각된 신사임당 채널의 투자 가치는 어느 정도일까?

궁금했던 신사임당 채널의 실제 매출

최근 경제 전문 유튜브 채널인 “신사임당 채널의 매각”이 지속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데, 신사임당이 구독자수가 181만명이나 되는 상위권의 경제 전문 유튜브 채널이기 때문이야. 참고로 다른 상위권의 경제 전문 유튜브 채널 중 “슈카월드”는 228만명, “삼프로TV”는 201만명이고, 그 다음이 바로 181만명의 “신사임당” 채널이야.

신사임당 채널이 매각되면서 이 채널을 인수한 전문투자자 “디피”는 다음의 기사를 통해 해당 채널의 월 수익과 매각 가격을 명쾌하게 밝혔는데, 신사임당 채널의 인수가는 20억원이고, 채널의 월 매출액은 1억 5천만원, 관련 지출 비용 약 2,000만원으로 순이익은 1억 3천만원이라고 해.

20억원에 인수한 전문투자자 “디피”의 말 대로라면, 상당히 저렴한 금액으로 인수했다고 볼 수 있는데, 월 1억 3천만원의 순이익을 기준으로 단순 계산을 해도 연간으로 15억 6천만원의 수입이 발생되기 때문이야. 만약 이 거래를 주식 시장의 대표적인 지표인 PER로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이 계산해 볼 수 있을 꺼야.

인수가 20억원

연간 순이익 15.6억원

PER = 20/15.6

즉 인수가인 20억원을 연간 순이익 15억 6천만원으로 나누면 1.3이라는 결과가 나오는데, PER 1.3배라는 것은 1.3년이면 인수가를 회수할 수 있다는 의미가 돼. 기사에서 “디피”도 14개월이면 원금을 회수할 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어.

물론 항상 모든 일이 계획대로 되는 것은 아닐꺼야. 신사임당의 원래 주인이자 신사임당 채널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는 주언규 PD가 빠지면서 조회수가 줄어들고, 매출액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인데, “디피”는 이에 대해서도 보수적으로 전망했을 때 매출액이 월 1억 5천만원에서 50% 줄어든 7천 5백만원이 된다고 해도 순이익은 5천 5백만원, 연간으로는 6억 6천만원으로 PER은 3배에 불과한 만큼 여전히 싸게 산 것일 수 있어.

만약 매출액이 50%가 아니라 3/1토막이 된다면 어떨까? 이 경우에도 순이익은 3천만원, 연간으로는 3억 6천만원으로 PER은 5.6배가 되는 만큼 크게 비싼 가격은 아니야.

하지만 PER의 밸류에이션을 계산 할 때 “유튜브 채널”이라는 특성을 감안해야 할 필요도 있는데, 유튜브 내의 채널들은 경쟁이 심하고, 채널 인기가 순식간에 떨어질 수도 있기 때문이야. 유튜브라는 플랫폼은 수많은 채널들로 구성되어 있고, 플랫폼 내에서 시청자들이 여러 채널로 이동하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이탈을 막을 수가 없고, 특정 채널의 경우 인기가 떨어지기 시작하면 채널의 가치 자체가 급격하게 하락할 수도 있어. 그래서 유튜브라는 플랫폼 자체가 아닌 해당 플랫폼에 속한 특정 채널에 대한 밸류에이션은 더욱 보수적으로 산정 할 필요가 있을 꺼야.

​어쨌든 매출 50% 하락이라는 보수적인 가정으로도, 채널의 인기가 현재와 같이 2~3년 정도만 유지되어 준다면 충분히 투자 원금을 회수할 수 있을 거란 생각이 들어. 만약 현재와 같이 월 1억 3천만원의 수익이 2년 동안 꾸준히 유지되어 준다면 총 31.2억원을 회수할 수 있고, 투자금인 20억원을 빼도 11억 2천만원의 투자 수익으로 연 28%의 훌륭한 수익을 기록할 수도 있을꺼야.

매출이 1/3토막이 나는 경우에는 월 순이익이 3천만원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투자원금인 20억원을 회수하는데는 약 5.6년이 소요되지만, 채널을 6년간 유지한다면 총 21.6억원을 회수할 수 있고, 투자금 20억원을 뺀 나머지는 1억 6천만원으로 연 1%의 수익률을 얻을 수 있어. 물론 유지하는 기간이 늘어나면 늘어날 수록 수익률은 높아지겠지? 워런 버핏이 현재 지급받는 배당금만으로도 매년 투자 원금 이상을 벌고 있는 “코카콜라”처럼 말야.

​핵심은 결국 현재의 인기를 언제까지 유지시킬 수 있느냐의 문제와 인수자가 밝힌 것처럼 채널을 기업화하고, 추가적인 컨텐츠를 제작해 현재의 높은 구독자를 기반으로 더 높은 조회수를 만들 수 있느냐의 문제일꺼야. 어쨌든 인수자인 “디피”는 추가적인 조회수 상승없이 2년간 유지만 하더라도 큰 수익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채널의 현재 가치를 고려해보면 20억원에 신사임당 채널을 인수한 것은 훌륭한 투자 결정이었던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채널 인기가 폭락하지만 않아도 2~4년간의 운영으로 원금을 회수할 수 있고, 오히려 인기가 오른다면 채널의 가치는 20억원 보다 더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야.

주언규 PD는 신사임당 채널을 매각한 한 이유를 매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는데, 보다 큰 그림을 그리고 있어서라고 해. 즉 경제적 자립을 이뤄 조기에 은퇴하는 “파이어족”이 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조단위의 기업을 만들고 싶다는 생각 때문이라는 거야.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