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는 왜 부자일까? 그들은 왜 부자가 되었을까? ‘부자 습관’의 저자인 토마스 콜리는 무엇이 부자를 부자로 만드는지가 너무나 궁금해서 1년에 2억 원 이상의 소득을 버는 사람과 1년에 4,000만 원 이하의 소득을 버는 사람들을 나누어 조사했어. 다음은 이에 대한 일부 내용이야.
아메리칸 드림에 대해
조사의 내용 중에는 다음과 같은 설문이 있었는데, 가난한 사람들은 여기에 대해 98%가 동의했어.
아메리칸 드림은 없었나요?
반면에 부자는 어땠을까? 가난한 사람들 보다 훨씬 적은 13%만 동의했고, 87%는 아메리칸 드림이 있었다고 믿었어.
부유한 사람들은 자신의 성공과 부의 대부분이 꿈과 같은 일로 이뤄졌다고 생각했는데, 자기의 실력도 실력이지만, 꿈과 같은 일이 더해졌기 때문에 벌어진 현실이라고 여긴 거야. 즉, 그들에게 꿈은 현실이었고, 그래서 꿈은 가능하다고 믿었어.
평소의 습관에 대해
평소의 습관이 삶에 영향을 미쳤나요?
평소의 습관이 삶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묻는 질문에는, 부자의 52%가 동의했어. 이 역시 마찬가지로, 꿈을 이룬 이유를 자기 자신에게서 찾은 거야. 그들은 좋은 습관이 행운을 부른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고, 그로 인해 운명도 나의 힘으로 개척할 수 있다고 믿었어.
반면에, 가난한 사람은 3%만 동의했어. 이들은 자기 힘으로 인생을 바꿀 수 없다고 여겼고, 어떤 이들은 비관주의에 빠져 있었어. 그들은 습관의 힘을 무시했고, 부자로 나아가기 위해 습관을 바꿔 볼 의지도 부족했어.
새로운 관계에 대해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것이 좋은가요?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게 좋냐는 설문에 대해서는 부자들의 88%가 그렇다고 답했는데, 이들은 특히나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일 자체를 좋아하고, 어떤 이들은 ‘사랑한다’고 답하기도 했어. 그들은 새로운 ‘좋은 인물’을 곁에 두는 것이 부를 쌓는데 아주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는데, 이들은 바로 네트워크의 힘을 본능적으로 알고 있었던 거야.
하지만 가난한 사람들은 17%만 그렇다고 답했는데, 그들은 평소에도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의 좁은 인간관계만 유지하려고 했고, 이 때문에 이들의 네트워크는 항상 제자리걸음이었어.
자기계발에 대해
자기계발은 꾸준히 하는 편인가요?
이 질문에 대해서도, 부자의 88%는 하루에 30분 이상 책을 읽었다고 대답했고, 가난한 사람은 2%만 그렇다고 대답했어. 또 부자의 63%는 자동차 안에서도 오디오북을 들으며 자기 계발을 한다고 대답한 반면, 가난한 사람은 5%만 그렇다고 대답했어. 즉, 부자가 압도적인 자기 발전의 습관을 갖고 있었어.
운동에 대해
운동은 꾸준히 하는 편인가요?
운동 횟수 역시 차이가 있었는데, 부자는 76%, 가난한 사람은 23%가 일주일에 4번 이상 운동을 한다고 대답했어. 건강이 성공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고 있는 부자들은 운동의 힘을 매우 중요시한 것에 반해, 가난한 사람은 그냥 쇼파에 누워있는 것을 더 좋아했어. 그들은 그저 더 편안한 것을 찾는 본능을 따랐던 거야.
재테크에 대해
재테크에 관심이 있나요?
재테크에 대한 관심은 부자의 50% 이상이 금전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었고, 대부분 주식 투자를 하고 있었어. 또 자녀에게도 이른 나이에 투자 공부를 시킨다고 대답했어. 하지만 가난한 사람은 6%만 그렇다고 대답했고, 대부분의 가난한 사람들은 사실상 금융문맹에 머물기를 스스로 ‘선택’했어.
또 부자의 74%는 자녀의 습관 교육에 관심을 가지려고 노력했지만, 가난한 사람은 1% 이하만이 그렇게 했는데, 이 차이가 세대를 거듭하며, 눈덩이처럼 불어나 부자와 가난한 자의 간격을 현격하게 벌려놓았다고 해.

Epilogue
전반적인 설문 내용에 대한 답변 내용을 보면, 부자가 가난한 사람보다 정신적으로 압도적인 성숙함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부자는 자기 자신의 원시적인 본능이나 시기, 질투, 게으름, 나태, 불필요한 식욕, 각종 무의미한 시간들을 통제하고 자기 자신을 담금질하는데 반해, 가난한 사람은 그저 가난한 습관에 젖어 자기 자신을 현재의 제자리에 놓기를 선택하는 것으로 보여. 그 선택의 차이가 결국 부자는 더 부자가 되고, 가난한 사람을 한 없이 가난해지는 것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닐까? 그렇다면 우리도 이제 다음 질문에 대해 좀 더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을꺼야.
나는 어떤 삶을 살아가고 싶은가?
실제로 여러 매체를 통해서도, 우리는 경제적 자유를 이룬 부자들이 인격적으로도 보통의 사람들보다 좀 더 성숙한 모습을 보이는 것을 볼 수 있어. 결국 경제적 자유를 이루는 것은 ‘인간의 완성’이기도 한 만큼, 가난에 짖눌리지 말고, 오늘도 부단히 부자처럼 살아가야 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진짜 부자가 될 때까지, 진정한 부자의 ‘품격’을 갖추기 위해 노력해 보는 것은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