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있는 사람을 숭상하지 않아야, 백성들이 다투지 않는다.

불필요한 욕망으로 마음을 혼란하게 만들지 않는다.

도덕경 제3장

도덕경 원문

不尙賢, 使民不爭.

不貴難得之貨, 使民不爲盜.

不見可欲, 使民心不亂.

是以聖人之治,

虛其心, 實其腹;

弱其志, 強其骨;

常使民無知無欲,

使夫智者不敢為也.

為無為, 則無不治.

도덕경 해석

능력있는 사람을 숭상하지 않아야, 백성들이 다투지 않는다.

얻기 어려운 물건을 귀하게 여기지 않아야, 백성들이 도둑이 되지 않는다.

탐욕을 멀리하면, 백성들의 마음이 어지러워지지 않는다.

이런 까닭에 성인의 다스림은

마음을 비우게 하고, 배를 채워주며

뜻을 약하게 하고, 뼈는 강하게 한다.

항상 백성들이 꾀가 없고 욕심도 없게 하여,

무릇 지혜롭다고 하는 이들이 감히 무언가를 못하게 한다.

무위를 행하면 다스리지 못하는 것이 없다.

도덕경 해설

능력있는 사람을 숭상하지 않아야, 백성들이 다투지 않는다.

不尙賢, 使民不爭.

능력있는 사람을 숭상하지 않아야, 백성들이 다투지 않는다.

不貴難得之貨, 使民不爲盜.

얻기 어려운 물건를 귀하게 여기지 않아야, 백성들이 도둑이 되지 않는다.

이 구절은 능력 있는 사람을 숭상하지 않음으로써 백성이 공적과 이익을 다투지 않게 하고, 희귀한 물건을 중시하지 않음으로써 백성이 도적질을 하지 않게 하라는 의미인데, 공자와 출발점은 같지만, 공자와는 달리 노자는 정면이 아닌 이면에서 접근하여 설명한다는 특징을 보여.

즉, 하나를 으로 말했다면, 다른 하나는 으로 말하는 것인데, 이는 을 들어 을 내세우는 것이라고 할 수 있어.

공자는 당시의 사회가 예악이 붕괴하고, 백성들이 서로 다투고, 도적이 횡행하는 모습을 보고 “인의를 높여 군자는 군자답고, 신하는 신하다우며, 아비는 아비답고, 자식은 자식다워야 한다”고 했어.

즉 예의를 중시하고 법칙을 준수하여 사회윤리의 강령을 세워야 함을 정면에서 직접 주장한 반면, 노자는 오히려 반대로 ‘어짊’‘덕’을 갖춘 사람을 추종하지 말라고 했어. 노자는 왜 이런 말을 했을까?

만약 기업에서 직원 중 누군가를 한 명 내세워 회사 전체의 모범으로 삼는다면, 나머지 직원들은 그를 질투 하고 심한 경우 다툼이 생기는 등 일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수도 있어. 이렇게 된다면 직원들을 비교하고 평가하는 것이 아무런 의미가 없겠지? 그래서 노자는 ‘어짊’‘덕’을 가진 사람을 숭상해서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고 한거야.

NFT나 예술 작품에 대한 열풍도 이런 사례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어. 각각의 작품들은 물론 훌륭한 작품일 수 있지만, 그것들이 하나같이 수십억에서 많게는 수백억에 거래된다는 것은 분명 어느 정도 과열된 현상으로 볼 수 있겠지? 즉 사람들의 관심과 숭배의 분위기가 이런 NFT나 예술 작품에 몰렸기 때문이야.

만약 NFT나 예술 작품에 대한 숭배의 열기가 없었다면 아무리 희소하고 귀한 예술품이라도 그냥 평범한 물건으로 여겨질 것이고, 가격 또한 천정부지로 치솟는 일을 없었을 꺼야. 또 이런 작품들을 그럴듯하게 카피한 위조품도 등장하지 않았을 것이고, 그것을 얻기 위해 물불 가리지 않고 행동하다 법을 위반하는 일도 생기지 않았을 거야.

탐욕을 멀리하면, 백성들의 마음이 어지러워지지 않는다.

不見可欲, 使民心不亂.

탐욕을 멀리하면, 백성들의 마음이 어지러워지지 않는다.

‘不 不見可欲, 使民心不亂’이란 말은 욕심낼 만한 것을 보이지 않아야 백성의 마음이 어지러워지지 않는다는 의미로, 사람들의 욕망을 불러일으킬 만한 물건을 꺼내어 드러내지 않으면 사람들의 마음이 어지러워지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고 볼 수 있어.

여기서 ‘볼 ‘은 ‘드러낼 ‘으로도 해석할 수 있는데, 어지럽게 되는 원인은 욕망이 지나치기 때문이고, 욕망은 마음에 감추어져 있기만 한 것이 아니라 표출되어 나오기 때문에 세상일의 혼란을 초래하게 된다고 해.

성인의 다스림은 마음을 비우게 하고, 배를 채워준다.

是以聖人之治,

虛其心, 實其腹;

弱其志, 強其骨;

이런 까닭에 성인의 다스림은

마음을 비우게 하고, 배를 채워주며

뜻을 약하게 하고, 뼈는 강하게 한다.

도를 깨달은 사람, 즉 성인은 천하를 다스릴 때 ‘마음은 비우게 하고 배를 채워 준다.’고 했는데, 이는 백성들이 지나친 욕망을 품지 않게 비워 내고 백성들의 배를 채우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어. ‘와 ‘‘은 모두 ‘비게 하고 채우게 한다’라는 사동적 의미로 사용되고, ‘‘는 백성들을 가리킨다고 해.

『도덕경』은 제왕에게 바치기 위한 책이기 때문에 제왕이 천하를 다스리려면 반드시 백성의 마음을 비워 깨끗하게 하고 백성의 배는 채워 주어야 한다고 한 것인데, 관자“창고가 가득하면 예절을 안다.”고 한 것처럼, 창고에 물건을 가득 채워 백성의 배를 부르게 하고 그들의 사상이 지나치게 복잡해지지 않게 하라는 말로 해석할 수 있어.

‘뜻은 약하게 하고 뼈를 강하게 한다.’는 구절은 백성의 의지를 약하게 하고 그들의 체력을 강하게 하라는 말로 해석할 수 있는데, 이는 백성이 지나친 욕심과 욕망을 갖지 않게 하고 머릿속을 단순하게 하라는 것으로, 세상에는 본래 큰일이랄 게 없지만 사람들이 그것을 어지럽힐 뿐이기 때문에, 노자는 이것이야 말로 대도에 부합하는 것이라고 본 거야.

무위를 행하면 다스리지 못하는 것이 없다.

常使民無知無欲,

使夫智者不敢為也.

為無為, 則無不治.

항상 백성들이 꾀가 없고 욕심도 없게 하여,

무릇 지혜롭다고 하는 이들이 감히 무언가를 못하게 한다.

무위를 행하면 다스리지 못하는 것이 없다.

무위의 태도로 사물을 대하면 다스리지 못할 것이 없고, 가장 낮은 곳으로 가면 결국 가장 높은 경지에 도달할 수 있으며, 무언가를 하지 않을 수록 무엇이든 할 수 있는 경지에 이를 수 있어.

사람들이 공적과 권력을 다투고, 명예와 이익을 거머쥐려 하는 것은 모두 ‘분별심’ 때문으로 명예와 이익을 추구하고 진귀한 보물을 탐하게 되면, 사람들의 마음에는 명예와 이익을 다투고 심지어 도적질하려는 생각이 싹트게 된다고 해.

오늘날의 사람들이 조화와 화목을 강조하는 것은, 세상에 조화와 화목이 없고 다툼이 지나치게 많아졌기 때문이야. 이라크 전쟁과 아프가니스탄 전쟁, 팔레스타인 전쟁 등의 다툼은 결국 권력 다툼이자 지역 다툼, 민심을 차지하기 위한 다툼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를 초래한 가치판단이나 욕망 추구가 없었다면 과연 전쟁과 분란이 발생했을까? 당연히 이런 전쟁은 일어나지 않았을 꺼야.

유가에서 인의를 강조했던 것은 당시 사회가 예악이 붕괴했기 때문이고, 고대 인도에서 평등과 자비의 불교가 탄생했던 것은 당시 인도 사회가 엄격한 카스트 제도 탓에 지나치게 불평등했기 때문인데, 이를 역으로 생각해 보면 예악이 붕괴하지 않았다면 유가의 인의도 없었을 것이고, 카스트 제도가 없었더라면 불교도 탄생하지 않았을 거야.

근본적으로는 이와 같은 대립을 없애고, 재물이나 능력 있는 사람, 희귀한 물건을 숭상하지 않아야 하는데, 노자가 여기서 말하고자 한 것은 탐욕과 사욕, 즉 불필요한 욕망을 갖지 말고, 스스로의 욕망이나 의지대로 행하지 않고 자연에 부합하고 순응하며 사람의 본성을 따라 행하면, 천하가 태평해지고 사람들의 마음이 혼란해지지 않을 것이라는 뜻이야.

Epilogue

<실리콘밸리로 간 노자>에서는 도덕경 3장의 내용을 不見可欲, 使民不爭이라는 한자어로 함축하고 있는데, “사리사욕을 버리고, 조직의 번영을 도모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어.

미국 시애틀에 본사를 둔 스타벅스는 전 세계 78개 14,000개의 매장을 개설한 글로벌 기업이다. 스타벅스는 미디어를 이용한 광고를 일체 하지 않고, 광고비를 들이지 않는 대신 그 비용을 매장의 디스플레이와 종업원들의 복지에 투자한다.

스타벅스의 경영에서 우리가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은 그들이 종업원들을 차별적으로 대우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스타벅스는 파트타임 종업원들에게도 정규직과 똑같은 의료보험 혜택을 주고, 스톡옵션도 동등하게 나눠준다.

“매장에서 고객이 경험하는 것은 곧 그 업체의 생명이다. 한번 나쁜 경험을 하면 당신은 그 고객을 영원히 잃어버리는 것이다. 만일 당신의 사업이 대학에 다니는, 스무살 무렵의 앳된 파트타임 종업원들의 손에 달렸다면 그 사람을 단순한 소모품으로 다룰 수 있겠는가? 나는 경주에서 승리하기를 원하고, 경주가 끝났을 때 아무도 뒤처지지 않기를 바란다. 우리 모두가 함께 결승 테이프에 도달해야 한다.”

“옛날에 내가 해봐서 다 안다. 너는 시키는 대로만 하면 된다.”라며 자신의 지식을 뽐내려는 욕망(知欲)이 꼰대 리더십을 만든다. 차별적 대우를 없애면 다툼이 사라지고, 지적 허영심을 내려놓으면 꼰대 리더십을 소통 리더십으로 바꿀 수 있다.

책 <실리콘밸리로 간 노자> 중에서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