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과 땅은 어질지 않다.

단순할수록 가능성은 무한해진다.

도덕경 제5장

도덕경 원문

天地不仁,

以萬物為芻狗;

聖人不仁,

以百姓為芻狗.

天地之閒,

其猶橐籥乎

虛而不屈,

動而愈出.

多言數窮,

不如守中.

도덕경 해석

하늘과 땅은 어질지 않아,

만물을 짚으로 만든 개처럼 여기고;

성인은 인자하지 않아,

백성을 짚으로 만든 개처럼 여긴다.

하늘과 땅 사이는,

마치 풀무와 같지 않은가?

비어 있으나 다함이 없고,

움직일 수록 더 내놓는다.

말이 많으면 궁해지고,

중심을 지키느니만 못하다.

도덕경 해설

하늘과 땅은 어질지 않다.

天地不仁.

하늘과 땅은 어질지 않다.

聖人不仁.

성인은 인자하지 않다.

천지불인성인불인은 천지와 성인이 어질지 않다거나 인자하지 않다는 뜻이 아닙니다. 이 문장의 잔짜 뜻은 천지와 성인에게는 인자함 또는 인자하지 않음이란 것이 본래 없을 뿐만 아니라, 편애함이나 미워함도 없다는 뜻입니다. 즉, 천지와 성인은 무심하여 만물에 공평, 공정, 평등하고, 사심없이 만물이 스스로 나고 사라지게 한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짚으로 만든 개처럼 여긴다.

以萬物為芻狗.

만물을 짚으로 만든 개처럼 여긴다.

以百姓為芻狗.

백성을 짚으로 만든 개처럼 여긴다.

‘는 풀을 뜻하고, ‘추구‘는 짚을 엮어 만든 개를 뜻합니다. 이는 신령을 위한 제사에 사용되었던 것이라고 하는데, 추구는 사용할 때 아까워하거나 편애하지 않고 쓴 뒤에 바로 버리지만, 그것을 미워하거나 증오하지 않고, 스스로 나고 없어지지 않습니다. 그래서 노자는 추구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천지, 우주, 자연이 편애함이 없이 누구나 공평하게 대한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했습니다.

즉, 노자에게는 세상 만물과 모든 일이 불평등할 수는 있지만, 천지는 절대적으로 공평한 것으로, 천지는 스스로 그러하고, 인위적이지 않고, 거짓되지 않으며, 편애하지 않는 존재였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천지의 도를 체득한 성인 역시 자연무위하고, 편애하지 않으며, 스스로의 의지나 희망을 보태지 않음으로써, 백성이 자연의 도에 순응하고, 스스로 살아가며, 본성에 따라 나고 죽을 수 있게 된다고 했던 것입니다.

하늘과 땅 사이는 마치 풀무 같다.

天地之閒,

其猶橐籥乎

하늘과 땅 사이는,

마치 풀무와 같지 않은가?

이 문장은 하늘과 땅 사이의 공간은 마치 하나의 풀무와도 같다는 뜻으로, ‘‘은 풀무 외부의 상자를 의미하고 ‘‘은 풀무 안에 있는 바람이 나오는 송풍관을 뜻합니다. 그래서 노자는 하늘과 땅 사이를 바로 이런 풀무와 같이 ‘가운데’ 공간처럼 바람이 가득 차 있는 상태로 보았고, 천지에 가득 차 만물을 잉태하는 것은 바로 ‘가운데’ 공간, 즉 ‘원기의 움직임에 따른 결과’라는 원리를 뜻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또, 사람의 몸도 일종의 풀무와 같다고 보았는데, 인체의 호흡에 따른 가슴 부위의 운동, 즉 숨을 쉴 때 부풀었다 수축하는 움직임도 풀무와 유사하며, 이런 원기의 움직임에 의해 사람도 나고 자란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노자는 이뿐만 아니라, 인체의 , 기회, 도 바람을 일으키는 풀무처럼 쉬지 않고 오르내리며 들고 나는 것이 마치, ‘오래된 것은 뱉어 내고 새로운 것을 빨아들여 생명이 생장하고 자랄 수 있게 하는’ 도의 작용과도 같다고 보았습니다.

비어 있으나 다하지 않는다.

虛而不屈,

動而愈出.

비어 있으나 다함이 없고,

움직일 수록 더 내놓는다.

노자는 천지의 형상이 비어 있어 그 쓰임이 오히려 ‘가득 차 있음’을 간파하고, 천지가 운동하는 가운데 에너지가 만들어 진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즉, 천지의 운동은 힘이 소멸하여 줄어드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오히려 거세지는 것이고, 이는 마치 풀무처럼 움직일 수록 바람의 양이 많아지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말이 많으면 궁해진다.

多言數窮,

不如守中.

말이 많으면 궁해지고,

중심을 지키느니만 못하다.

多言數窮이란 말은 말을 많이 할수록 더욱 빨리 궁해진다는 뜻으로, 노자는 학식이 많을수록 오히려 궁해진다고 보았습니다. 즉, 많이 원할수록 없어지고, 덜어 낼수록 얻게 되는 것이 세상의 이치라고 합니다.

공자는 많이 듣고 널리 배우며 하나를 듣고 열을 알아야 한다고 했는데, 노자는 오히려 많이 알수록 궁해진다고 했습니다. 노자는 어째서 많이 듣고 널리 배울수록 오히려 곤궁함을 앞당긴다고 한 것일까요? 그 이유는 많이 듣고 널리 배우면 미혹 당함을 면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노자는 ‘적어지면 얻고, 많아지면 미혹된다.’고 말한 것입니다.

노자의 사상에서는 단순해질수록 진리에 가까워지고, 진리에 근접한 것일 수록 단순해 집니다. 그래서 노자는 단순하고 덜어내며 허정을 이루어야 한다고 강조했는데, “말이 많으면 금방 궁해진다.”는 문장으로, 사람들에게 말을 줄이거나, 심지어 말을 하지 말라고 가르친 겁니다. 이와 유사하게 불가에도 헛된 소리를 경계하라는 가르침이 있습니다.

不如守中중도를 지키는 것이 낫다는 뜻으로, 노자는 도는 말로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허정의 상태를 유지하지만, 그 쓰임은 오히려 다함이 없고, 천지간의 모든 사물이 그 뿌리에서 시작되어 끊임없이 흘러나오게 된다고 보았습니다.

Epilogue

<실리콘밸리로 간 노자>에서는 도덕경 5장의 내용을 多言數窮이라는 한자어로 함축하고 있는데, “단순할수록 가능성이 무한해진다”는 뜻으로 해석합니다.

불인을 ‘어질지 못하다’로 해석하면 의미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 그래서 무위에 초점을 맞춰 ‘무심하다’로 번역했는데, 무위하기에 천지와 성인은 만물이나 백성에게 특별한 가치를 부여하지 않고 다만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존재의 의미 그대로 대우할 뿐이다.

구글의 시작은 매우 단순했다. 작은 검색창 하나가 구글을 성공으로 이끈 핵심 비결이다. 구글 이전에 인터넷을 지배했던 야후는 뉴스, 스포츠, 날씨, 쇼핑, 게임 등 방문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을 수 있는 콘텐츠로 홈 화면을 화려하게 꾸몄다. 야후는 사용자들이 자신들의 홈화면에서 가급적 오래 머물기를 바랐지만, 구글은 반대로 검색창 하나만 덩그러니 놓아둔 텅 빈 상태를 유지했다.

책 <실리콘밸리로 간 노자> 중에서

답글 남기기

Recent Posts

행복만 있는 세상, 정말 우리가 꿈꾸는 이상향일까요?

행복만 있는 세상, 정말 우리가 꿈꾸는 이상향일까요?

SCSS Style Guide

SCSS Style Guide

CSS Style Guide

CSS Style Guide

왜 코딩 컨벤션이 중요할까요?

왜 코딩 컨벤션이 중요할까요?

HTML Style Guide

HTML Style Gu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