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는 반도체, 패키지기판, OLED, 2차전지 등의 분야에서 외관검사장비를 만들고 있는 업체로 인텔의 독점 검사장비 업체로 선정되면서 급성장하기 시작했는데, 반도체패키지향 매출이 급증하면서 반도체패키징용 기판 검사장비 분야에서도 자연스럽게 성장이 연결되고 있음
기판업체들의 FC-BGA 기판 증설이 경쟁적으로 진행 중인 만큼 동사의 기판 검사장비 실적 또한 한동안 성장이 진행 될 것으로 기대되는데, 디스플레이 쪽은 폴더블 관련 OLED 셀 검사기향 매출이 나오고 있고 2차전지 외관 검사장비 사업도 개화되는 초기 국면으로 판단됨
동사는 자체 머신비전기술을 바탕으로 인텔의 레퍼런스 독점 장비로 독점 선정되고, 다양한 산업에서 수요가 나오고 있는 좋은 그림을 그려가고 있는 상황에서, 반도체 섹터가 큰 폭의 조정을 받으면서 소부장 업체들 역시 동반 하락했는데, 주가 하락에 비해 실적이 양호하고 장기적인 성장 스토리가 여전히 유효한 업체로 계속해서 주목할 필요가 있음
동사는 고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CAPA 증설이 최근 완료되었고 얼마전 내부자(사외이사)의 장내매수 공시도 있었던 만큼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주가가 바닥권에 있는 것으로 판단됨
출처: FS리서치
이전 요약 정보 History
동사는 반도체 패키지 외관검사장비 사업과 Flip-chip 기판검사장비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두 사업부 모두 글로벌 시장에서 매우 높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동사는 인텔의 외관검사장비 업체로 단독 선정되면서 KLA가 가지고 있던 시장을 확보하였는데, 이것이 기판 검사장비 시장의 높은 점유율로 이어지며 성장해오고 있음
현재는 반도체 재고가 역대급으로 쌓여있고 CAPEX 축소 발표가 줄을 잇는 상황이지만, 원래 반도체 장비주의 특성상 업황이 최악일 때 사서 호황에 파는 것이 주효한 전략이 될 것이며, 특히 최근 몇 년 동안 한국의 소부장 업체들의 경쟁력이 상당히 올라온데 비해, 반대로 주가는 크게 하락한 경우가 많아 상당한 투자 기회가 존재하는 시점으로 판단됨
최근 미세공정의 기술 난이도 증가로 한계가 느껴지자, 후공정 패키지 부문의 중요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는데, 관련 부문의 투자는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서 반도체 패키지 관련 기업들 중 글로벌 경쟁력이 뛰어난 업체들을 장기적으로 추적할 필요가 있음
삼성의 파운드리 장기 투자가 결실을 맺기 위해서도 후공정 관련 국내 업체들의 동반 성장은 필수적이며, 동사의 2023년 글로벌 OSTA 업체 & 기판 부문 신규 고객 확보와 미중 반도체 규제로 인한 반사이익 가능성 등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동사는 2D/3D 외관 검사장비 공급업체로 반도체 패키지사업부(매출 비중 58%)는 완성칩 업체에 외관 검사 장비를 납품하고, 기판 사업부(21%)는 완성칩 전과정의 Flip-Chip substrate를 검사하는 장비를 완성칩 업체에 납품하는 PCB업체들에게 공급하며, 디스플레이사업부(21%)는 중소형 Flexible OLED 최종단 외관 검사 장비를, 2차전지 사업부(0.5%)는 완성 2차전지 cell의 외관 검사기를 공급함
사업부의 핵심 주제는 반도체 PKG 분야로 글로벌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후공정 외주업체(OSAT)에 대한 M/S 확대가 지속됨
반도체 기판 분야는 HPC, 5G, AI, 자율주행 등으로 인한 기술 및 수급 이슈 수혜가 예상되며, 디스플레이 분야는 전방 주요 고객사들의 지연된 증설투자 및 보완투자가 일부 진행되고, 2차전지는 2차전지 셀 제조업체들의 외관검사 분야에 대한 자동화 프로젝트가 시작됨
동사의 주요 고객사는 내년 상반기 중 서버용 CPU칩을 출시할 예정이며 해당 칩은 EMIB 패키징 방식을 채택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기존에는 물량이 적은 FPGA나 AI관련 칩 위주에서 서버용 칩까지 내려오며 관련 수혜주들이 재조명 받을 것으로 예상됨
또한 최근 나타나는 기판 업체들의 투자 확대 기조와 후공정 고도화 속 범프 미세화 트렌드는 동사의 기술력을 부각시키며 고성장을 지탱해 줄 것으로 판단됨
3분기 말 기준 동사의 수주잔고는 506억원으로, 4분기 중 지속적으로 수주가 상승하며 현재는 수주잔고가 약 200억원 수준이 추가되는 것으로 추정됨
패키징 검사장비에서는 경쟁사 KLA대비 인텍플러스의 장비가 더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측면의 기술적 강점(6면 검사, 대면적 검사 등)을 바탕으로 기존 고객사 신규 투자에서 장비 채택율이 높아지고 있고 신규 고객사 확보도 꾸준히 지속되고 있음(21년 OSAT업체중 S사 추가, 또다른 고객사 Contact 초기단계)
기판 사업부 역시 국내/중국 신규 Fab증설로 인한 수혜를 받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사업부가 다소 불확실성이 있지만 중국 합자법인 등을 추진 중인 것으로 판단됨
2차전지는 최근 신규 고객사로부터의 수주 지속성을 22년 상반기까지 지켜볼 필요는 있지만 21년 수준 매출 전망을 기준점으로 삼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동사는 외관 검사장비 공급업체로 매분기 최대 수주잔고를 경신 중에 있으며, 반도체 후공정의 난이도 증가로 글로벌 OSAT 업체들의 Capex 증가가 지속되고 있어 동사의 검사장비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환경임
특히 최근의 웨이퍼 공급 부족을 고려하면 수율 이슈가 점점 중요해질 수 밖에 없어 정밀하고 빠르게 검사할 수 있는 장비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데, 동사는 인텔의 검사장비 독점업체로 선정된 이후 기판 검사장비 수요도 자연스럽게 높아지면서 반도체 및 기판 사업부가 성장을 견인하고 있음
또한 중소형 Flexible OLED 외관 검사 장비 사업부와 2차전지 Cell 외관 검사 장비 사업부의 성장도 더해지면서 수주와 실적이 상승세를 타고 있는데, 전방시장인 비메모리, OLED, 2차전지 모두 Capex가 장기적으로 집중될 산업이고, 탄탄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점유율을 넓히는 초기 단계로 보이는 만큼 중장기적으로 지켜볼 필요가 있음